티스토리 뷰

워낙 경우의 수가 많아서 일일이 다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만, 사실 도어 언락만을 위해 버튼을 달려고 맘만 먹으면 푸쉬타입 토글 스위치 하나만 있으면 해결됩니다. 뭐, 물론 이런 언락 버튼이 필요한 차량은 시속 40km/h 에서 자동 잠김 되는 LS 트림(구 Jazz 고급) 이상의 차량이겠죠. 또, 당연한 이야기입니다만 속도 감응 자동 도어 록이 되는 차량이어야 운전석에도 도어 록 액추에이터가 달려 나오니까 스위치를 이용한 언록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자꾸 락 이랑 록 이랑 왔다갔다 하는데 그런건 무시하시고요..

아, 한가지. 저는 "힌트"를 드리기 위해 글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인지 알아먹는 분들은 하나하나 알려드리지 않아도 알아서 잘 하실거고, 무슨 말 하는지 모르겠다 싶으시다면 죄송한 말씀이지만 그냥 back 해주세요. 차마다 경보기 달아놓은 형태도 다르고 옵션도 다를텐데 일일이 제가 확인해드릴 수 없거든요.

SJB의 락 / 언락 제어 배선을 따온 상황이면 핸즈프리 통화 버튼이나 핸즈프리 볼륨 조절 스위치로 간단하게 락 / 언락 하는거는 아실겁니다. 경보기를 설치할 때 5P 릴레이 두 개로 액추에이터 전원을 제어하게 해놨다면 그 경우 역시도 똑같은 방법으로 릴레이 코일 접지극을 스위치로 뗐다 붙였다 하는 방법으로 동작이 가능하죠. 다만 후자의 경우엔 스위치를 길게 누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는 은근히 신경쓰이는 문제점이 있기는 합니다.

아, 물론, 리모키 옵션을 선택한 차량의 경우에는 정말 간단하게 락 / 언락 스위치 만들어서 달 수 있는거 아시죠?


그렇다면.. 좀 골치아픈 차들이 뭔고 하니, 일단 순정 리모키는 없는 상태에서
경보기가 필요 없어서 설치를 하지 않은 차량이라던지, 경보기는 설치했지만 도어모터를 박아놓은 차.
이런 경우엔 좀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일단 스파크 SJB의 도어 록 액추에이터 제어 타이밍 차트를 보고 가죠.


로어 록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입력 신호에 "도어 노브 스위치" 라는 녀석이 있습니다. 이게 뭐냐면, 운전자가 손으로 운전석 잠금 핀을 위 아래로 움직였을 때 입력되는 신호입니다. 그 신호를 받아야 다른 문짝의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던지 말던지 하죠. 구형 마티즈는 도어 노브 스위치 그 자체가 다른 문짝의 액추에이터 전원 제어를 하는 릴레이 역할까지 겸했습니다만, 스파크는 SJB에서 다 합니다.

그럼 그 도어 노브 스위치 신호만 다듬어주면 되겠네요.

사실, 기존에 판매하고 있는 도어 언락 스위치류도 결국은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겁니다.

여기에 사용하려면 푸쉬타입 토글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토글 스위치는 한 극은 항상 붙어있고, 다른 한 극은 버튼을 눌렀을 때와 누르지 않았을 때 왔다갔다 하는 그런 놈인데.. 제일 만만한건 역시 LPG 차단 스위치네요.


아쉽게도 LPG 차량에는 이 스위치를 못쓰는게 안타깝긴 합니다만..
기존에 판매되는 언락 스위치류도 마찬가지니까요 ㅎㅎ
(휘발유 차량인데 LPG 버튼 있어서 LPG 차냐고 물어오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냥 겸용 차라고 둘러대시던지...)

판매중인 다른 제품들처럼 문을 "잠그는" 것 까지는 못하지만 굳이 잠그는 것까지 스위치로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한두푼 하는 것도 아니고 2-3만원씩이나 줘 가면서 말이죠.

LPG 차단 스위치는 눌렀을 때 걸리도록 ㄷ자 모양으로 작은 핀 같은게 들어 있는데, 그거만 빼 버리면 눌러도 걸리지 않고 이내 다시 튀어나옵니다. 또, 적절한 커넥터를 구하기는 번잡스러우니까 커넥터가 있는 뒷부분 플라스틱은 잘라내 버리고 각 핀에 전선을 납땜해서 잇는 수고도 필요하긴 해요. 손은 많이 가지만 싸게. 몸으로 때우는게 DIY죠. 비싼 언락버튼 사다가 다는거 그런거보고 DIY라고 하는거 아닙니다 ㅎㅎ


뭐, 배선은 간단(?)합니다. 운전석에서 나오는 도어 노브 스위치 배선 두 가닥을 찾아서 LOCK 위치의 배선 절단 후 토글 스위치 두 가닥을 연결하고, 다른 한 가닥은 UNLOCK 배선에 브릿지 해주는 걸로 끝납니다.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을 때와 눌렀을 때 스위치의 어떤 핀이 연결되는지 정도는 테스터로 찍어보면 금방 압니다.


동작 원리(?)를 구분동작(?)으로 살펴보도록 하지요.


문이 잠긴 상태에서 토글 스위치를 누르지 않은 경우. SJB에는 도어록 스위치가 LOCK 이라고 신호가 입력되고 있습니다. 신호라는건 결국 접지극에 붙어있다는 얘기고요. 문이 잠겨 있으니까 LOCK 라고 들어오는게 당연한겁니다.


근데 스위치를 눌러서 문이 잠겨있는데도 SJB 제어로직에는 UNLOCK 이라는 신호를 날립니다. 사람이 손으로 뽁뽁이를 잡아당긴거랑 똑같은 상황을 연출해주는거죠. 그러면 SJB에서 액추에이터를 움직여서 문 잠금을 해제합니다.


손으로 뽁뽁이를 잡아올리는거랑 순서가 뒤바뀌기는 했지만 액추에이터가 움직여서 도어록 스위치도 열림 위치로 움직이게 되었네요. 아주 좋습니다.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원래대로 바뀝니다. 이렇게 토글 스위치를 누르지 않으면 항상 도어록 스위치 배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뽁뽁이를 손으로 누르거나 잡아올려도 도어 록 / 언록은 평소처럼 문제 없이 동작하게 되어 있습니다.

도어록 스위치 배선 관련해서는 아래 배선도를 참고하세요(눌러서 원본 크기로 보면 글자 보여요).


문에서 나오는 흰색(WH) 배선이 "UNLOCK" 이고, 청/백(BU/WH) 배선이 "LOCK" 입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